Spring/spring boot10 Spring DI(의존성 주입),IOC(제어의 역전) DI(의존성 주입) 이란? 스프링이 다른 프레임워크와 차별화되어 제공하는 의존 관계 주입 기능으로,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게 아니라 외부에서 생성한 후 주입 시켜주는 방식이다. DI(의존성 주입)를 통해서 모듈 간의 결합도가 낮아지고 유연성이 높아진다. A객체가 new B/C객체를 직접 생성해서 기능을 사용한다면,기능은 사용하지만 B,C객체에 의존되어 있다고 할 수있다. 이를 강한결합 상태라고 한다. 강한 결합상태에서는 B/C객체의 변화가 생길경우 A 객체에도 모두 변화를 시켜줘야 한다. 즉, 일일히 다 코드를 바꿔줘야 해서 유지보수,에러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있다. repository1을 바꾸면 service1도 바꿔야하고 controller1도 바꿔야한다. 마찬가지로 다른 모든 부분을 변경해 줘야한다... 2021. 11. 23. spring MVC패턴 스프링 MVC 패턴? MVC (Model - View - Controller) 디자인 패턴 -Controller 사용자가 접근 한 URL에 따라 요청을 파악한다. URL에 맞는 Method를 호출하여 Service와 함께 Business Logic을 처리한다. 최종적으로 나온 결과는 Model에 저장을 하고, View에 던져준다.- -Model Model은 Controller에서 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. -View Controller로 부터 받은 Model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표현해준다. 일반적으로 HTML, JSP... 에 해당한다. 정적 웹페이지 Client 의 요청을 Model 로 받아 처리 예) 회원가입을 위한 개인 정보들 (id, password, name) Client 에.. 2021. 11. 22. 이전 1 2 3 다음